제임스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4세는 1473년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3세와 덴마크의 마가렛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488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15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으며, 서부 고지 지방과 아일랜드 영주 세력을 진압하며 권력을 강화했다. 잉글랜드와의 관계는 헨리 7세와의 평화 조약으로 잠시 안정되었으나, 헨리 8세와의 갈등으로 악화되어 1513년 플로든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는 르네상스 군주로서 예술과 학문을 후원했고, 강력한 해군을 건설하는 등 스코틀랜드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계 스코틀랜드인 -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엘리자베스 스튜어트는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6세의 딸로 태어나 팔츠 선제후비, 보헤미아 여왕를 지냈으나 남편의 패배로 왕위를 잃고 "겨울 여왕"이라 불렸으며, 그녀의 후손은 영국 왕위 계승법에 따라 영국 왕위를 계승했다. - 덴마크계 스코틀랜드인 - 프레야 메이버
스코틀랜드 배우 프레야 메이버는 드라마 《스킨스》의 미니 맥기니스 역으로 데뷔하여 이름을 알렸으며,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고 2011년 스코틀랜드 패션 어워드에서 올해의 패션 아이콘 상을 수상했다. - 16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영국-스코틀랜드 동군연합을 이뤘으나, 의회와의 갈등, 재정 문제, 종교 문제 등 여러 난관에 직면했고 왕권신수설을 주장했으며,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킹 제임스 성경》 번역을 주도하는 등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16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메리 1세 (스코틀랜드)
메리 1세는 스코틀랜드 여왕으로 즉위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지만, 남편 사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종교 갈등과 정치적 음모에 휘말리다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에 의해 처형되었고, 그녀의 아들은 훗날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가 되었다. - 15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제임스 1세 (스코틀랜드)
제임스 1세는 1394년에 태어나 1406년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지만 잉글랜드에 인질로 억류되었고, 돌아와 왕권 강화를 시도하다가 1437년 암살당했으며, 시와 음악에도 능했다. - 15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로버트 3세
로버트 3세는 1390년부터 1406년까지 스코틀랜드 왕을 지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왕권 약화와 동생의 영향력 아래 놓이는 등 불행한 시기를 보냈다.
제임스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임스 4세 |
재위 | 1488년 6월 11일 – 1513년 9월 9일 |
대관식 | 1488년 6월 24일 |
출생일 | 1473년 3월 17일 |
출생지 | 스코틀랜드 스털링, 스터링 성 |
사망일 | 1513년 9월 9일 |
사망지 | 잉글랜드 노섬벌랜드, 플로든 전투 중 브랭스턴 |
왕가 | 스튜어트 가문 |
아버지 | 제임스 3세 |
어머니 | 마르그레테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통치 | |
직위 | 스코틀랜드 국왕 |
선임자 | 제임스 3세 |
후임자 | 제임스 5세 |
가족 | |
배우자 | 마거릿 튜더 |
자녀 | 제임스 5세 로스 공작 알렉산더 스튜어트 |
서자 |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 알렉산더 스튜어트 마거릿 스튜어트, 고든 부인 모레이 백작 제임스 스튜어트 재닛 스튜어트, 플레밍 부인 |
기타 | |
![]() | |
![]() |
2. 생애
1473년 3월 17일 스터링 성에서 태어난 제임스는 제임스 3세와 덴마크의 마가렛의 장남이었다.[2]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로서 태어날 때부터 로씨스 공작 작위를 가졌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어머니와 두 남동생(제임스, 존)과 함께 스터링 성에서 보냈으며, 어머니의 감독 아래 인문학자 아치볼드 화이트로우와 신학자 존 아일랜드로부터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3] 그는 스코틀랜드어 외에도 라틴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플라망어, 이탈리아어에 능통했으며, 게일어를 구사한 마지막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알려져 있다.[4]
아버지 제임스 3세는 잉글랜드와의 우호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는 스코틀랜드 내에서 인기가 없었고, 두 차례의 큰 반란에 직면하는 등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갔다. 제임스 3세는 장남인 제임스 왕자보다 둘째 아들을 더 편애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9] 1488년, 제임스 왕자는 아버지를 반대하는 귀족들이 일으킨 반란에 가담하여 명목상의 지도자가 되었다.[11][12] 이 반란은 소치번 전투로 이어졌고, 이 전투에서 아버지 제임스 3세가 사망하면서 15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156] 제임스 4세는 아버지의 죽음에 자신이 간접적으로 연관되었다는 사실에 깊은 죄책감을 느껴, 평생 동안 허리에 쇠사슬로 된 시리스를 착용하며 속죄했다고 전해진다.[15][16]
제임스 4세는 유능한 통치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즉위 초기의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하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예술과 학문을 장려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꽃피웠다.[157] 특히 해군력 강화에 힘써 총기 제조와 조선업 발전에 기여했다.[158]
잉글랜드와의 관계는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헨리 7세와는 1502년 영구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159] 1503년 헨리 7세의 딸 마가렛 튜더와 결혼하여 한동안 평화 관계를 유지했다.[160] 그러나 헨리 8세가 즉위한 후 이탈리아 전쟁의 여파로 잉글랜드와 프랑스가 대립하자, 제임스 4세는 프랑스와의 오랜 동맹(고대 동맹)을 선택했다. 1513년 헨리 8세가 프랑스를 침공하자 제임스 4세 역시 잉글랜드를 침공했으나,[161] 플로든 전투에서 노퍽 공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에게 크게 패하고 자신도 전사했다.[162][163]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어린 아들 제임스 5세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스코틀랜드는 다시 불안정한 시기를 맞게 되었다.
2. 1. 즉위 초기


1488년 6월 11일, 아버지 제임스 3세가 소키번 전투에서 반란군과의 전투 중 사망하자 15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했다.[156] 비록 전투 당시 명목상 반란군의 지도자였으나,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으로 평생 동안 사순절마다 cilice를 착용하며 속죄했다고 전해진다.
즉위 직후, 자신을 왕위에 올린 반란 귀족들에게 국가 요직과 왕실 직책을 수여하며 권력 기반을 다졌다.[17] 1488년 6월 24일 스콘 수도원에서 글래스고 주교 로버트 블랙애더의 집전으로 대관식을 치렀고,[18] 며칠 뒤 캠버스케네스 수도원에서 열린 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했다.[18] 에든버러와 스털링 성을 확보하고 선왕의 재산도 손에 넣었다.[17] 외삼촌인 올덴부르크 백작 게르하르트 6세가 덴마크 함대와 함께 리쓰에 도착하여 다음 해까지 스코틀랜드에 머물렀다.[18]
제임스 4세는 즉위 초부터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며 유능한 통치자임을 증명했다. 보스웰 백작 패트릭 햅번, 앵거스 백작 아치볼드 더글러스, 애버딘 주교 윌리엄 엘핀스톤 등에게 정부 운영을 맡겼다.[19] 1489년에는 헌틀리의 영주, 레녹스 백작 존 스튜어트, 라일 경 로버트 라일 등이 일으킨 반란을 크룩스턴 성, 두칼 성, 덤바턴 성 등을 포위 공격하고 반란군을 격파하며 성공적으로 진압했다.[19] 또한, 머레이 씨족과 드러몬드 씨족 간의 분쟁을 해결하고 왕국 전역의 정의 순회 재판에 직접 참여하는 등 사법 행정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20] 서부와 북부의 외딴 지역까지 왕권을 확장하고 1493년 무렵에는 아일랜드계 영주 세력까지 진압했다.
스코틀랜드 의회는 왕의 신붓감을 찾기 위한 프랑스와 스페인 사절단 파견 비용으로 5,000파운드의 세금을 부과했다.[21] 1491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8세로부터 황금 장미를 받았고,[21] 1492년에는 프랑스와의 고대 동맹을 갱신했다.[21] 덴마크, 스페인과도 조약을 맺었으며, 1493년과 1494년에는 헨리 7세와 휴전 협상을 벌였다.[21] 1494년에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부터 스코틀랜드의 홀을 선물 받았다.[21] 1495년 6월에는 글래스고에서 북부 아일랜드인 유력자이자 헨리 7세의 정적인 티르코넬의 왕 휴 로 오도넬을 만나 방어 동맹을 맺고, 잉글랜드 왕위 주장자 퍼킨 워벡에 대해 논의했다.[22]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 스페인의 가톨릭 군주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이사벨라 1세), 부르고뉴 공작 필립, 요크의 마가렛 등 유럽 주요 군주들이 워벡의 왕위 주장을 인정한 상황에서, 제임스 4세는 1495년 11월 워벡을 스코틀랜드에서 맞이했다.[22] 이는 유럽 외교 무대에서 스코틀랜드의 영향력을 높이고 헨리 7세를 압박하여 유리한 조건을 얻어내려는 전략적 판단이었다.[22] 스페인 대사 페드로 데 아얄라가 상주 대사로 파견되어 중재 역할을 했다.[23]

1496년 9월, 제임스 4세는 워벡과 함께 잉글랜드를 침공하여 노섬벌랜드의 틸머스, 더도, 브랜크스톤, 호우텔 탑과 트와이젤 성, 히턴 성 등을 파괴했다.[24] 그러나 예상했던 노섬벌랜드 지역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웨스트모어랜드 백작 랄프 네빌이 이끄는 잉글랜드 군대가 접근하자 9월 25일 철수했다.[24][25] 결국 제임스 4세는 워벡 지원을 포기하고, 1497년 7월 그를 배에 태워 아일랜드로 보냈다.[27][28] 이후 1497년 8월, 제임스 4세는 거포 몬스 맥을 동원하여 다시 잉글랜드를 침공하고 노섬 성을 포위했다.[29]
거듭된 침공으로 잉글랜드-스코틀랜드 국경의 취약성을 인식한 헨리 7세는 평화 협상에 나섰다. 1497년 9월 30일, 스페인 대사 페드로 데 아얄라의 중재로[26] 7년간의 휴전을 골자로 하는 에이턴 조약이 체결되었다.[30] 조약에는 국경 범죄자 처리 규정 강화, 반란자 비호 금지 등이 포함되었으며, 스페인 군주가 향후 분쟁 중재자로 지정되었다.[30][31] 이 과정에서 제임스 4세와 헨리 7세의 장녀 마거릿 튜더와의 결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32]
에이턴 조약 이후 양국 관계는 개선되었고, 1502년 1월 24일 리치먼드 궁전에서 제임스 4세와 마거릿 튜더의 결혼 및 영구 평화 조약 체결에 합의했다. 마거릿의 지참금은 3만 5천 스코틀랜드 파운드로 정해졌다.[32] 이 조약은 1328년 이후 처음으로 양국 간의 항구적인 평화, 우호, 동맹을 약속했으며, 위반 시 교황에 의한 파문 조항까지 포함했다.[33] 제임스 4세는 1502년 12월 10일 글래스고 대성당에서 이 조약을 비준했다.[34]

결혼식은 1503년 1월 25일 리치먼드 궁전에서 보스웰 백작 패트릭 햅번을 대리로 하여 대리 결혼으로 먼저 치러졌다.[35] 마거릿은 1503년 8월 1일 스코틀랜드 국경을 넘어왔고,[36] 8월 8일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30세의 제임스 4세와 13세의 마거릿의 결혼식이 글래스고 대주교 로버트 블랙애더와 요크 대주교 토마스 세이비지의 집전으로 거행되었다.[37][38] 이 결혼은 시인 윌리엄 던바에 의해 '엉겅퀴와 장미의 결혼'으로 묘사되었다.[39]
2. 2. 내정 개혁과 르네상스 문화 후원
제임스 4세 통치 기간에는 이전과는 달리 스코틀랜드 의회Parliament of Scotlandeng 소집이 줄어들었다. 1488년부터 1496년까지 8년간 삼부회three estateseng가 10차례 소집된 반면, 이후 17년 동안에는 단 3차례만 소집되었고, 특히 1496년부터 1504년까지 8년 동안은 의회가 전혀 열리지 않았다.[55][56] 시간이 흐르면서 의회 참석자 수도 상당히 감소했다. 이는 당시 영국과 유럽의 군주들이 대표 의회의 역할을 축소하고 국왕 자문 회의conciliar governmenteng에 더 의존하던 경향과 일치한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4세는 23년 통치 기간 동안 의회를 6번, 헨리 7세는 24년 동안 7번만 소집했으며,[57] 프랑스에서는 1484년 이후 76년 동안 프랑스 삼부회Estates Generalfra가 소집되지 않았다.[57]1497년 영국과의 분쟁이 끝나자 왕실은 더 이상 세금 형태의 특별 수입을 얻기 위해 의회를 소집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고, 이로 인해 의회는 이전처럼 정기적으로 열리지 않게 되었다.[57] 또한, 1496년 이전 10년간 의회가 국왕 암살 음모나 반란을 주재하거나 승인하고, 왕의 신붓감을 찾기 위한 외교 사절단 파견에도 실패했던 경험 때문에, 제임스 4세는 의회를 자주 소집하는 것이 왕실 통치에 해롭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58] 1496년부터 1504년까지 의회가 소집되지 않은 것은 제임스 4세가 다른 수입원을 찾았고, 삼부회의 반대 성향 때문에 소집을 꺼렸기 때문일 수도 있다.[59] 제임스 4세 통치 말기의 세 차례 의회(1504년, 1506년, 1509년)는 모두 서부 하이랜드에서 발생한 추가 반란 이후 사법 행정과 반역자 재산 몰수를 처리하기 위해 소집되었다.[59] 제임스 4세는 1496년 이후 정기적인 의회 없이도, 1497년, 1498년, 1502년, 1511년, 1512년에 스코틀랜드 일반 의회General Council of Scotlandsco를 활용하고, 1508년, 1511년, 1513년에는 스코틀랜드 비밀 의회Privy Council of Scotlandsco 회의를 대폭 확대하여 효과적으로 통치했다.[60]
즉위 초부터 제임스 4세는 제한적인 왕실 수입을 늘리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입원에서 더 많은 수익을 얻고자 했다. 당시 국왕은 왕실 토지 수입과 버러 관세, 우편료, 통행세 및 관세 수입으로 정부 경비를 충당해야 했는데, 이들로부터 얻는 연간 수입은 제임스 4세 재위 기간 내내 약 5,000~6,000 스코틀랜드 파운드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61] 그러나 버러 수입의 상당 부분은 귀족과 왕실 관리들에게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양도되었기 때문에, 왕이 실제로 받는 수입은 일부에 불과했다.[61]
의회에서 부과하는 세금은 수입 증대의 기회를 제공했지만, 제임스 4세는 곧 세금에 의존하는 방식이 필요한 만큼의 재정을 확보하지 못하고 오히려 저항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1488년부터 1497년 사이에는 외교, 전쟁, 대륙 사절단 파견, 서부 고지대 원정, 1496~1497년 영국과의 분쟁 비용 등을 충당하기 위해 거의 매년 세금이 부과되었다.[62] 하지만 1502~1504년 해상 원정과 덴마크 파병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삼부회(성직자, 귀족, 버러)로부터 12,000 스코틀랜드 파운드를 모으려던 시도가 실패한 이후, 1512년까지는 더 이상 세금이 부과되지 않았다. 1512년에 부과된 세금조차 성직자에게만 한정되었고 약 7,000 스코틀랜드 파운드를 징수하는 데 그쳤다.[62]
대신 제임스 4세는 다른 방법으로 연간 수입을 1497년부터 1513년 사이에 눈에 띄게 늘렸다. 1497년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 윌리엄 셰브스가 사망하자, 제임스 4세는 자신의 동생인 제임스 스튜어트, 로스 공작을 공석인 세인트앤드루스 대교구의 대주교로 임명했다. 이를 통해 스코틀랜드 교회의 최고 직책을 왕가 통제 하에 두었으며, 대주교구 수입으로부터 왕실은 연간 약 2,500 스코틀랜드 파운드의 수입을 확보하게 되었다.[63][64] 엘핀스톤 주교가 이 임명에 항의했지만, 이는 왕에게 있어 잠재적인 왕위 계승 위협이 될 수 있는 동생을 관리하는 방편이기도 했다.[65] 제임스 4세는 로스 공작에게 홀리루드(1498), 던펌린(1500), 아브로스(1503)의 수도원장직과 1501년 대법관 직위까지 부여하여 왕 다음가는 지위를 만들어주었다.[65] 1504년 로스 공작이 사망하자, 제임스 4세는 자신의 11세 된 사생아 알렉산더를 대주교로 임명하여 세인트앤드루스의 수입을 계속 왕실이 확보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64]
1498년, 25세가 된 제임스 4세는 미성년 시절에 이루어진 모든 허가에 대해 공식적인 취소 조치를 할 권리가 생겼다. 이론적으로 즉위 이후 이루어진 모든 토지와 직책 양도를 취소할 수 있었지만, 실제 목적은 왕실에 반환된 토지와 직책을 재양도하는 과정을 통해 왕권을 확인하고 수입을 늘리는 것이었다. 토지 소유자들은 소유권을 확인받기 위해 스코틀랜드 재무관에게 보상금을 지불해야 했고, 이를 통해 수천 파운드의 수입을 올렸다.[63] 1503년부터 1505년 사이에는 마가렛 튜더의 지참금으로 비교적 적은 액수인 10,000 스코틀랜드 파운드가 들어왔다.[66] 재위 말기에는 토지 소유자들이 왕실에 지불한 봉건적 납부금과 형사 범죄에 대한 사법적 벌금이 증가하면서, 재무관의 연간 수입은 1496~1497년 약 4,500 스코틀랜드 파운드에서 1512년에는 28,000 스코틀랜드 파운드로 크게 늘어났다.[67] 여기에 교회 재산 수입과 왕실 토지 임대 수입을 더하면, 1513년까지 제임스 4세의 총 수입은 약 44,500 스코틀랜드 파운드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당시에도 약 7,000 스코틀랜드 파운드의 연간 적자가 발생하고 있었다.[67]


제임스 4세는 진정한 르네상스 시대의 군주로서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였다. 그는 많은 문학 인물, 특히 스코틀랜드의 마카르Makarssco들을 후원했는데, 그의 궁정과 관련된 시인으로는 윌리엄 더바, 월터 케네디, 가빈 더글라스 등이 있다. 제임스는 레스털리그(Lestalrig)에서 킹스 워크King's Werksco의 임대료를 사용하여 음악을 후원했으며,[83] 그의 재상 윌리엄 엘핀스톤이 설립한 애버딘 킹스 칼리지와 자신의 서자이자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인 알렉산더 스튜어트 및 존 헵번, 세인트앤드루스 수도원장이 관여한 세인트앤드루스 세인트 레오나드 칼리지 설립을 지원했다.[83] 1496년에는 엘핀스톤의 제안으로 스코틀랜드 최초의 교육법으로 간주되는 법을 제정하여, 모든 스코틀랜드 귀족과 부유한 자유민의 장자와 상속인이 문법학교에서 의무 교육을 받도록 규정했다.[84]
제임스 4세는 지적이며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인물이었다. 1498년 7월, 스페인 대사 페드로 데 아얄라는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라 1세에게 제임스 4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 왕은 25세 정도입니다. 그는 키가 크지도 작지도 않은 고귀한 체격에, 사람이 가질 수 있는 한 매력적인 얼굴과 체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의 태도는 매우 쾌적합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외국어를 잘 합니다: 라틴어 매우 능숙하게; 프랑스어, 독일어, 플라망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후작만큼 잘하지만, 발음이 더 또렷합니다. 그는 스페인 편지를 매우 좋아합니다. 그의 고유 스코틀랜드어는 영어와 아라곤어가 카스티야어와 다른 것만큼 다릅니다. 왕은 또한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과 섬에 사는 야만인들의 언어(스코틀랜드 게일어)를 구사합니다. 이것은 스코틀랜드어와 비스케이어가 카스티야어와 다른 것만큼 다릅니다. 그의 언어 능력은 놀랍습니다. 그는 성경과 다른 경건한 책들을 잘 읽었습니다. 그는 훌륭한 역사가입니다. 그는 많은 라틴어와 프랑스어 역사책을 읽고, 뛰어난 기억력 덕분에 그 지식을 활용했습니다. 그는 결코 머리카락이나 수염을 자르지 않습니다. 그것은 그에게 매우 잘 어울립니다.[85][86]
제임스 4세는 자신의 서자인 알렉산더 스튜어트에게도 최고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여, 에라스무스에게 맡겨 파두아, 시에나, 로마 등지에서 교육받도록 했다.[87] 그는 또한 언어가 학습되는 것인지 타고나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언어 박탈 실험[88]을 실시하기도 했는데,[89][90] 두 명의 아이들을 인치키스(Inchkeith) 섬에 있는 말 못하는 여성에게 맡겨 키우게 했다.

제임스 4세는 광범위한 지적 호기심을 가졌으며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문제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는 1507년 스코틀랜드 최초의 인쇄소인 쳉먼과 밀러 프레스Chepman and Myllar Presseng 설립을 후원했고,[91] 1506년에는 에든버러 왕립 외과의사 협회Incorporation of Surgeons and Barbers of Edinburgheng에 왕실 헌장을 수여했다.[91] 그는 치과에도 관심을 보였는데, 1503년 왕이 14실링을 지불하고 이빨을 뽑아준 이발외과 의사를 불러들인 기록이 있다.[92][93] 1504년에는 더 나아가 직접 시술 경험을 쌓기 위해 체인에 매달린 금 이쑤시개 두 개와 "치아를 뽑는 족집게"를 구입했다.[94] 기록에 따르면 제임스는 자신의 이발사 중 한 명의 이빨 두 개를 직접 뽑아주고 14실링을 지불했으며, 환자에게 사혈을 하거나 궤양 상처를 치료하고 드레싱하는 것을 시도하기도 했다.[95] 그는 또한 당시 유행했던 연금술에도 관심을 가져 스터링 성에 연금술 작업장을 설립하고 연금술사 존 데이미언(John Damian)이 비금속을 금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찾도록 지원했다.[96] 이 프로젝트에는 많은 양의 수은, 연단lithargeeng, 주석이 소모되었고, 금세공사 매슈 오친렉(Matthew Auchinleck)은 연금술사들에게 은으로 만든 증류기를 제공하기도 했다.[97] 데이미언은 항공학 연구에도 몰두하여 스털링 성벽에서 날개를 달고 비행하려다 실패했는데, 이 사건은 윌리엄 더바가 두 편의 시에서 풍자하기도 했다.[98]
제임스 4세는 여러 왕궁의 건설 및 개조에 많은 비용을 투자했다.[99] 그는 1501년부터 1505년 사이에 홀리루드하우스 궁전 건설을 의뢰했는데,[99] 이는 1503년 8월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마가렛 튜더와 결혼한 것이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1501년부터 1513년 사이에는 파이프에 있는 폴클랜드 궁전 건설을 의뢰했다.[99] 스터링 성에서는 대연회장과 새로운 왕궁(현재의 킹스 올드 빌딩) 건설, 왕실 예배당 개조, 성의 남쪽과 동쪽 주요 방어 시설 재건을 지시했다. 그는 또한 에든버러 성의 대연회장 건설, 린리스고 궁전, 로시스 성(Rosyth Castle), 던바 성 재건을 의뢰했으며, 자신의 궁전들을 태피스트리로 장식했다.[99]
스코틀랜드에서 위스키 생산의 첫 번째 증거는 1494년 국고 기록Exchequer Rollseng에 기록된 항목에서 나오는데, 보리 맥아가 "왕의 명령에 따라 존 코 수사에게 보내져 아쿠아비타aqua vitaelat를 만들었다"고 되어 있으며, 약 500병을 만들기에 충분한 양이었다.[100] 제임스 4세는 위스키를 매우 좋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506년 던디 시는 당시 생산 독점권을 가진 이발사 외과의사 조합에서 많은 양의 위스키를 구입했다.[100]
2. 3. 잉글랜드와의 관계
제임스 4세의 치세 동안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관계는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잉글랜드 왕위를 주장하던 퍼킨 워벡을 지지하며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으나, 1497년 평화 조약을 맺으며 점차 안정을 찾아갔다.헨리 7세 통치 하의 잉글랜드와는 1502년 영구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159] 이듬해인 1503년 헨리 7세의 맏딸 마거릿 튜더와 결혼하면서[160] 양국 관계는 더욱 공고해졌다. 이 결혼은 훗날 스코틀랜드의 스튜어트 왕가가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그러나 헨리 8세가 잉글랜드 왕위에 오르면서 관계는 다시 악화되었다. 이탈리아 전쟁의 여파로 잉글랜드와 프랑스가 대립하자, 제임스 4세는 프랑스와의 오랜 동맹(고대 동맹)을 중시하여 1512년 프랑스와 손을 잡았다.[161] 결국 1513년 헨리 8세가 프랑스를 침공하자, 제임스 4세 역시 잉글랜드를 침공했으나 플로든 전투에서 노퍽 공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에게 대패하고 자신도 전사했다.[162][163] 그의 죽음 이후 어린 제임스 5세가 즉위하면서 스코틀랜드는 다시금 불안정한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2. 3. 1. 헨리 7세 시대: 평화 정책
1495년, 제임스 4세는 잉글랜드와의 휴전 협정을 파기하고 잉글랜드 왕위를 주장하던 퍼킨 워벡을 지지한다는 명분으로 잉글랜드를 침공할 태세를 갖추었다. 그러나 실제 전쟁은 몇몇 국경 지역을 공격하는 수준에 그쳤다. 결국 1497년 12월, '7년 평화조약'이 체결되었지만, 국경에서의 산발적인 충돌은 계속되었다.양국 관계에 중요한 전환점은 1503년에 찾아왔다. 제임스 4세는 잉글랜드의 왕 헨리 7세의 맏딸인 마거릿 튜더와 결혼하였다. 이 결혼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관계를 이전보다 훨씬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또한 이 결혼은 약 1세기 후, 제임스 4세의 증손자인 스튜어트 왕가의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로서 영국 전체의 왕위에 오르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외교적 성공 등을 통해 제임스 4세의 국제적 위상은 점차 높아져 유럽 대륙의 다른 통치자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협상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제임스 4세의 통치 기간, 특히 1497년 영국과의 분쟁이 마무리된 이후에는 스코틀랜드 의회(Parliament of Scotland)의 소집 빈도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이는 이전 통치자들과 다른 양상이었으며, 당시 잉글랜드의 헨리 7세나 프랑스와 같은 다른 유럽 군주국에서 나타난 대표 의회의 역할 축소 경향과 유사했다.[55][56][57] 1497년 이후 평화가 정착되면서 세금 징수를 위해 의회를 소집할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제임스 4세는 이전 의회 운영 경험을 통해 잦은 의회 소집이 왕권에 불리하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57][58] 실제로 그는 1496년부터 1504년까지 8년 동안 의회를 전혀 소집하지 않았으며, 대신 스코틀랜드 일반 의회(General Council of Scotland)나 스코틀랜드 비밀 의회(Privy Council of Scotland)와 같은 다른 기구를 활용하여 통치했다.[59][60]
2. 3. 2. 헨리 8세 시대: 갈등 심화와 플로든 전투
잉글랜드와의 관계는 처남인 잉글랜드의 왕 헨리 8세와의 충돌로 인해 악화되었다. 1512년 제임스 4세는 잉글랜드와 유럽 주요 세력에 맞서 프랑스와 동맹(고대 동맹)을 맺었다.[161] 1513년 헨리 8세가 프랑스를 침공하자, 제임스 4세는 고문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를 돕기로 결정하고 잉글랜드로 진군했다. 1513년 8월, 그는 잉글랜드 북부에서 네 개의 성을 점령하는 초기 성공을 거두었다.
제임스 4세가 이끄는 약 42,000명의 스코틀랜드 군대와 대규모 포병대는 8월 22일경 콜드스트림 근처에서 트위드 강을 건너 잉글랜드로 진입했다.[126][127] 스코틀랜드 병사들은 봉급을 받지 않았고, 봉건적 의무에 따라 40일 동안만 복무할 의무가 있었다. 국경을 넘은 후, 일부 부대는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워크 온 트위드 성을 공격했고, 주력 부대는 트위드 강을 따라 북동쪽으로 이동하며 노섬 성, 이털 성, 포드 성 등을 점령했다.[128][129]
1513년 9월 9일, 스코틀랜드 군대는 노섬벌랜드의 브랜크스턴 언덕에서 서리 백작이 지휘하는 잉글랜드 군대와 마주쳤다. 질병과 탈영으로 병력이 줄었음에도 스코틀랜드 군대는 약 34,000명으로, 잉글랜드 군대보다 약 8,000명 더 많았다. 스코틀랜드 보병은 프랑스 동맹군에게서 받은 길이 약 5.49m의 장창으로 무장했는데, 이는 유럽 대륙에서 위력을 발휘했지만 효과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훈련, 규율, 적절한 지형이 필요했다.[130] 스코틀랜드 포병대는 주로 무거운 포위용 대포로 구성되어 있었다.[131] 반면 잉글랜드 보병은 전통적인 장병기, 특히 빌을 주로 사용했고, 잉글리시 롱보우로 무장한 숙련된 궁수 부대도 보유하고 있었다.[132] 잉글랜드 포병은 비교적 가벼운 야전포로, 발사 속도가 빨랐다.[133]
전투는 포격전으로 시작되었으나, 스코틀랜드의 무거운 대포는 내리막 사격의 어려움과 급하게 배치된 탓에 효과를 보지 못했다. 오히려 가벼운 잉글랜드 포가 빠른 속도로 스코틀랜드 보병 대열에 포격을 가했다.[134] 홈 경과 헌틀리 백작이 이끄는 스코틀랜드 좌익은 잉글랜드 군대를 향해 돌격하여 초기에는 우세를 보였으나, 데이커의 경기병 개입 후 교착 상태에 빠졌다.[135]
제임스 4세는 에롤 백작, 크로포드 백작, 몬트로즈 백작이 이끄는 중앙 부대에 진격을 명령했다. 그러나 이들은 브랜크스턴 언덕 기슭의 습지대에서 기동에 어려움을 겪으며 장창 대형의 응집력을 잃었다. 전열이 흐트러지자 긴 창은 거추장스러워졌고, 근접전에서 검과 도끼를 사용했지만 사거리가 짧은 잉글랜드의 빌에 밀렸다.[136][137] 제임스 4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서리 백작의 부대와 맞섰다. 그는 최전선에서 싸우며 용맹함을 보였으나 전장의 전체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치열한 전투 끝에 다른 잉글랜드 부대가 합류하여 스코틀랜드 군대를 압도했다. 잉글랜드군에게 포로를 잡지 말라는 명령이 내려져 스코틀랜드 귀족들의 사망률이 특히 높았다.[138] 제임스 4세 자신도 전투 막바지에 서리 백작과 창 하나 거리까지 접근해 싸우다가 전사했다.[139][162][163]
플로든 전투는 스코틀랜드 역사상 가장 참혹한 군사적 패배 중 하나였다. 유능한 국왕과 수많은 귀족을 잃은 것은 왕국에 큰 타격이었다. 제임스 4세의 유일한 적자인 제임스 5세가 한 살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했으나, 그의 미성년 통치 기간 동안 스코틀랜드는 정치적 혼란을 겪었으며 웨일스와 함께 헨리 8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임스 4세는 스코틀랜드 역사에서 유능하고 인기 있는 군주로 기억되고 있다.
3. 군사 및 해군 정책
제임스 4세는 스코틀랜드 왕실 해군(Royal Scots Navy) 발전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강력한 함대를 스코틀랜드 선박 보호, 국제적 위상 제고, 그리고 잉글랜드나 프랑스와의 동맹을 통한 외교 정책 추진 수단으로 여겼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제임스는 최소 38척의 함선을 건조하거나 구입했다. 그의 해군 건조 계획은 작은 왕국의 통치자에게는 이례적으로 큰 규모였다. 해군 관련 비용은 그의 통치 후반기 왕실 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68] 초기 연평균 함선 건조 비용은 약 £140이었으나, 1510년대 초에는 £8,710에 달했다.[69]
1491년, 제임스는 잉글랜드와 다른 해적들이 포스 만(Firth of Forth) 인근 스코틀랜드 선박을 공격하는 것에 대응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포스 만을 방어하기 위해 라르고와 인치가비(Inchgarvie)에 요새를 건설하고 덤바 성(Dunbar Castle)을 대대적으로 수리했다.[70] 1493년 제임스는 모든 자치 도시(burgh)에 20ton급 배 한 척을 제공하고 운영 인력을 징집하도록 명령했다.[71] 아일즈 제후령(Lordship of the Isles) 몰수 이후, 제임스는 1492년~1495년과 1498년에 아가일(Argyll)과 헤브리디스 제도(Hebrides)로 해군 원정을 이끌었다. 1502년 5월에는 제임스 해밀턴의 지휘 아래 5척의 함선과 2,000명의 병력을 덴마크(Denmark)에 파병했다. 이는 덴마크-스웨덴 전쟁 중 삼촌인 덴마크의 요한 왕을 지원하기 위함이었다.[72] 그러나 이 원정은 실패했고, 크리스티나 왕비가 스톡홀름(Stockholm)을 방어하는 데 기여하지 못했다.[73] 덴마크 원정 실패는 제임스 4세가 해군력 확장에 더욱 힘쓰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스코틀랜드 전역과 프랑스, 플랑드르(Flanders), 덴마크, 스페인(Spain)에서 조선공과 장인들을 모집했다. 조선용 목재는 라나크셔(Lanarkshire)와 고지대에서 벌목되었고, 노르웨이와 프랑스에서도 수입되었다. 제임스는 1504년 뉴헤이븐과 1506년 에어스 풀에 포스 강변의 새로운 조선소(dockyards)를 설립했다. 왕은 제독(Admiral)의 상징인 호각(whistle)과 금 목걸이를 착용하기도 했다.[74]
레쓰(Leith)에서 건조되어 1506년 진수된 ''마가렛''은 무게가 약 600~700톤이었다. 4문의 팔코넷, 1문의 대포(cannon), 21문의 기타 포를 장착했으며, 건조 비용은 약 £8,000(당시 연간 왕실 소득의 4분의 1 이상)에 달했다.[75] 카랙(carrack) ''그레이트 마이클(Great Michael)''은 당시 가장 큰 군함이었다.[76][77] 1511년 뉴헤이븐에서 건조 및 진수되었으며, 길이는 약 45.72m에서 약 54.86m 사이, 무게는 약 1000ton이었고, 건조 비용은 약 £30,000으로 추정된다.[77] 이 배는 24문의 청동 대포(cannon)와 3문의 바실리스크를 장착했으며, 특히 중화기 주포 탑재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설계상의 변화를 보여준다.[76][78] 해군은 ''재무관'', ''마가렛'', ''제임스'', ''마이클'' 등 4척의 대형 함선을 중심으로, 여러 소형 선박과 민간 소유의 상선(merchant ship)으로 보강되었다.[74]
할아버지와 아버지처럼 제임스 4세는 포병(artillery)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재위 초기부터 제임스 3세 시대의 프랑스식 포병대를 강화했다.[79] 1507년에는 세 명의 포수와 함께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대포(great guns)'를 시험 발사했으며, 1508년에는 홀리루드 궁전과 스털링 성의 대연회장에서 직접 만든 컬버린(culverin)으로 사격 연습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제임스는 폴클랜드 궁전 공원에서 사슴 사냥에 컬버린을 사용하거나, 메이 섬(Isle of May) 앞바다의 배 위에서 바닷새를 향해 컬버린을 쏘기도 했다.[80] 제임스 4세는 프랑스에서 대포, 포탄, 화약을 수입했다. 1511년에는 왕립 주조소를 스털링 성에서 에든버러 성으로 이전했다. 이곳에서는 스코틀랜드인, 네덜란드인, 독일인, 프랑스인 대장장이들이 총포장 로버트 보스윅(Robert Borthwick)의 지휘 아래 일했으며, 이는 영국 제도(British Isles)에서 대형 청동포를 생산하는 최초의 주요 주조소 중 하나였다.[81][79] 이 주조소의 생산품에는 ''마이클''호에 탑재된 대포와 플로든 전투(Battle of Flodden)에서 잉글랜드군에게 노획된 '일곱 자매(Seven Sisters)' 대포 등이 포함되었다.[82] 제임스의 포병대는 아르케뷔즈 아 크로크(거치식 중화승총), 핸드 컬버린(hand culverin), 팔코넷 등을 포함했다.[79]
4. 유산
제임스 4세는 진정한 르네상스 시대의 군주로서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였다. 그는 스코틀랜드 문학의 황금기를 이끈 마카르들을 비롯한 많은 문학 인물들을 지원했는데,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윌리엄 더바, 월터 케네디, 가빈 더글라스 등이 있다. 또한 레스털리그의 킹스 워크 임대료 수입을 활용하여 음악을 후원했으며, 재상 윌리엄 엘핀스톤이 설립한 애버딘 킹스 칼리지와 서자인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 알렉산더가 설립한 세인트앤드루스 세인트 레오나드 칼리지의 설립을 지원하고, 존 헵번, 세인트앤드루스 수도원장을 후원했다.[83] 1496년에는 엘핀스톤의 제안으로 스코틀랜드 최초의 교육법으로 평가받는 법을 제정하여, 모든 귀족과 부유한 자유민의 장남과 상속인이 문법학교에서 의무 교육을 받도록 했다.[84]
제임스 4세는 지적 능력이 뛰어나고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다. 1498년 7월, 스페인 대사 페드로 데 아얄라는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라 1세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제임스 4세에 대해 상세히 묘사했다. 아얄라는 제임스 4세가 라틴어에 매우 능숙하며 프랑스어, 독일어, 플라망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외국어를 구사한다고 기록했다. 특히 스페인어는 발음이 더 또렷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왕은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과 섬 주민들이 사용하는 게일어도 구사할 줄 알았는데, 아얄라는 이를 "놀라운 언어 능력"이라고 평가했다. 제임스 4세는 성경과 경건 서적을 탐독했으며, 라틴어와 프랑스어로 된 역사책을 많이 읽어 뛰어난 기억력을 바탕으로 풍부한 역사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고 한다.[85][86] 그는 자신의 서자인 알렉산더에게도 최고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에라스무스에게 맡겨 파두아, 시에나, 로마 등에서 공부하도록 했다.[87] 한편, 제임스 4세는 언어가 학습되는 것인지 선천적인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인치키스 섬에 두 명의 아이를 말 못하는 여성에게 맡겨 기르는 언어 박탈 실험을 하기도 했다.[88][89][90]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던 제임스 4세는 1507년 스코틀랜드 최초의 인쇄소인 쳉먼과 밀러 프레스 설립을 후원했으며, 1506년에는 에든버러 외과의 및 이발사 조합에 왕실 헌장을 수여했다.[91] 그는 치과에도 흥미를 보여 1503년에는 이발 외과의사에게 14실링을 주고 자신의 이를 뽑게 했으며,[92][93] 1504년에는 직접 치과 시술을 경험하기 위해 금 이쑤시개 두 개와 치아 발치용 겸자를 구입하기도 했다.[94] 기록에 따르면 그는 자신의 이발사 중 한 명의 이빨 두 개를 직접 뽑아주고 14실링을 지불했으며, 환자에게 사혈을 하거나 궤양 상처를 치료하고 드레싱하는 등 의료 행위에도 직접 참여했다.[95] 또한 연금술에도 관심을 가져 스털링 성에 작업장을 마련하고 연금술사 존 데이미언이 비금속을 금으로 바꾸는 연구를 하도록 지원했다.[96] 이 연구에는 많은 양의 수은, 연단, 주석 등이 사용되었고, 금세공사 매슈 오친렉은 은으로 만든 증류기를 제공하기도 했다.[97] 존 데이미언은 항공 연구에도 몰두하여 스털링 성벽에서 비행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는데, 이 사건은 윌리엄 더바의 시 두 편에서 풍자되기도 했다.[98]
제임스 4세는 홀리루드하우스 궁전(1501-1505), 파이프의 폴클랜드 궁전(1501-1513) 등 여러 왕궁의 건설 및 개조에 많은 투자를 했다.[99] 특히 홀리루드하우스 궁전 건설은 1503년 8월 마거릿 튜더와의 결혼을 계기로 추진된 것으로 보인다. 스털링 성에서는 대연회장과 새로운 왕궁(현재의 킹스 올드 빌딩)을 짓고 왕실 예배당을 개조했으며, 성의 주요 방어 시설을 보강했다. 에든버러 성의 대연회장 건설, 린리스고 궁전, 로시스 성, 던바 성 재건에도 힘썼으며, 궁전들을 태피스트리로 화려하게 장식했다.[99]
스코틀랜드에서 위스키 생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94년 ''국고 기록''에 나타난다. 이 기록에는 "왕의 명에 따라 존 코 수사에게 아쿠아비타(위스키)를 만들기 위해" 보리 맥아를 보냈다는 내용이 있으며, 이는 약 500병 분량이었다.[100] 제임스 4세는 위스키를 매우 즐겼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506년 던디 시는 당시 생산 독점권을 가진 이발사 외과의사 조합으로부터 많은 양의 위스키를 구입했다는 기록도 있다.[100]
4. 1. 평가
제임스 4세는 스코틀랜드에서 유능한 왕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러나 통치 말년 잉글랜드와의 관계는 처남인 헨리 8세와의 충돌로 악화되었다. 1512년 제임스 4세는 잉글랜드와 유럽 주요 세력에 맞서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 1513년 헨리 8세가 프랑스를 침공하자, 제임스 4세는 고문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를 돕기 위해 잉글랜드로 진군했다. 1513년 8월 북부 잉글랜드에서 성 4곳을 점령했으나, 그의 군대는 1513년 9월 9일 브랜스턴 근처에서 벌어진 플라든 전투에서 크게 패배했다. 제임스 4세는 말에서 내려 싸우다가 전사했으며, 그를 따르던 많은 귀족들도 함께 목숨을 잃었다. 그의 유일한 적자인 아들이 왕위를 계승하여 제임스 5세로 즉위했다. 제임스 4세 사후 스코틀랜드는 웨일스와 함께 제임스 5세가 다시 전쟁을 일으킬 때까지 잉글랜드의 헨리 8세에 의해 일부 점령 상태에 놓이기도 했다.제임스 4세의 궁정은 국제적인 성격을 띠었다.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의 음유시인, 플랑드르의 금속 세공인, 스페인 무용수 등 다양한 외국인들이 궁정에 머물렀다.[101] 특히 궁정에는 다수의 아프리카인들이 있었는데, 일부는 하인이나 노예로 추정되지만, 궁정인, 손님, 음악가였던 이들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02][103][104] 1504년 스코틀랜드 고등 재무관 회계 장부에는 나중에 마가렛과 헬렌 또는 엘렌 무어로 세례받은 두 명의 아프리카 여성이 기록되어 있다. 이 여성들은 궁정 생활에서 주목받았으며, 특히 헬렌 무어는 윌리엄 던바의 시 "어느 흑인 여인에 대하여"의 대상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시는 당시 백인 중심의 궁정과 사회에서 흑인 여성으로서 그녀의 외모와 지위를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무어 타우브로나르"로 불린 아프리카 출신 드러머는 제임스 4세와 함께 스코틀랜드를 여행했으며,[105] "피터 더 무어인"이라 불린 아프리카인도 왕실 지원으로 여행 경비를 받았다.[105] 피터 더 무어는 1500년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데, 일부 역사가들은 그와 다른 아프리카인들이 스코틀랜드 사략선이 포르투갈 화물선에서 노획한 이들로서 스코틀랜드에 처음 오게 되었다고 본다.[106] 기록에 따르면 그는 전국을 여행하는 왕의 동반자였으며, 1504년 8월 마지막으로 기록될 때까지 상당한 금액을 받았다.[106] 역사가 임티아즈 하비브는 피터가 "분명히 군주에게 총애받는 동반자"였으며 궁정 문화에 "잘 받아들여졌다"고 평가한다.[106]
그러나 제임스 4세 궁정 내 아프리카인들의 정확한 지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엘렌과 마가렛 무어 두 여성이 "왕실에서 ... 흑인 노예의 자비로운 형태를 누리고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107]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이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궁정의 진기함"으로 취급되었으며, 어느 정도 노예 상태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5. 자녀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로씨스 공작 제임스 | 1507년 2월 21일 | 1508년 2월 27일 | 스털링 성에서 한 살의 나이로 사망 |
이름 없는 딸 | 1508년 7월 15일 | 홀리루드궁에서 출생 직후 사망 | |
로씨스 공작 아서 | 1509년 10월 20일/21일 | 1510년 7월 14일/15일 | 에든버러 성에서 열 달이 채 안 되는 나이로 사망 |
제임스 5세 | 1512년 4월 10일 | 1542년 12월 14일 | 스코틀랜드의 왕. 마들렌 드 발루아, 메리 드 기즈와 결혼하여 메리 스튜어트를 포함한 자녀를 두었음. |
이름 없는 딸 | 1512년 11월 | 홀리루드궁에서 출생 직후 사망 | |
로스 공작 알렉산더 | 1514년 4월 30일 | 1515년 12월 18일 | 제임스 4세 사후 출생. 스털링 성에서 열아홉 달의 나이로 사망 |
이름 | 출생 | 사망 | 어머니 | 비고 |
---|---|---|---|---|
알렉산더 스튜어트 | 약 1493년 | 1513년 9월 9일 | 메리언 보이드 |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 스코틀랜드 대법관. 자녀 없음. |
캐서린 스튜어트 | 약 1495년 | 1554년 이후 | 메리언 보이드 | 제임스 더글러스, 3대 모턴 백작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
마가렛 스튜어트 | 약 1498년 | ? | 마가렛 드럼몬드 | 존 고든, 고든 경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이후 알렉산더 스튜어트, 존 드럼몬드 2세, 이너퍼프레이 경과 재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
제임스 스튜어트, 1대 모레이 백작 | 약 1500년 | 1544년 | 재닛 케네디 | 레이디 엘리자베스 캠벨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
재닛 스튜어트 | 1502년 7월 17일 | 1562년 2월 20일 | 이자벨 스튜어트 | 말콤 플레밍, 3대 플레밍 경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프랑스의 앙리 2세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포함). |
참조
[1]
서적
The 1542 Inventory of Whitehall Palace
Illuminata Press
[2]
ODNB
Margaret of Denmark
[3]
서적
James IV
[4]
웹사이트
Calendar of State Papers, Spain (1485–1509), volume 1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019-01-22
[5]
서적
James IV
[6]
서적
Scottish Queens, 1034–1714
Tuckwell Press
[7]
서적
James IV
[8]
서적
James IV
[9]
서적
James IV
[10]
서적
James IV
[11]
서적
James IV
[12]
서적
James IV
[13]
서적
James IV
[14]
서적
Fatal Rivalry: Flodden 1513
WW Norton
[15]
서적
James IV
[16]
서적
The History of Scotland
Robert Freebairn
[17]
서적
James IV
[18]
서적
James IV
[19]
서적
James IV
[20]
서적
James IV
[21]
서적
James IV
[22]
서적
James IV
[23]
서적
James IV
[24]
서적
Accounts of the Lord High Treasurer of Scotland
Edinburgh
[25]
서적
Calendar of Documents relating to Scotland
Edinburgh
[26]
서적
Calendar State Papers Milan
London
[27]
서적
Letters of James IV
SHS
[28]
서적
Accounts of the Treasurer
Edinburgh
[29]
서적
James IV
[30]
서적
Foedera
[31]
서적
James IV
Tuckwell
[32]
서적
Fatal Rivalry
[33]
서적
Fatal Rivalry
[34]
서적
Calendar of Documents relating to Scotland
HM Register House, Edinburgh
[35]
서적
[36]
서적
Fatal Rivalry
[37]
harvtxt
[38]
서적
Henry V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9]
서적
The Poems of William Dunbar
The Mercat Press
[40]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Pimlico
[41]
서적
James IV
[42]
서적
James IV
[43]
서적
Fatal Rivalry
[44]
서적
Scotland Re-formed: 1488–1587
[45]
웹사이트
The Raid on Ross, 1491
http://www.clan-came[...]
2015-05-23
[46]
서적
James IV
[47]
서적
James IV
[48]
서적
James IV
[49]
서적
James IV
[50]
서적
James IV
[51]
서적
[52]
서적
James IV
[53]
서적
[54]
서적
James IV
[55]
서적
James IV
[56]
서적
The Stewart Dynasty
House of Lochar
[57]
서적
James IV
[58]
서적
James IV
[59]
서적
James IV
[60]
서적
James IV
[61]
서적
James IV
[62]
서적
James IV
[63]
서적
James IV
[64]
서적
James IV
[65]
서적
Scotland Re-formed: 1488–1587
[66]
서적
James IV
[67]
서적
James IV
[68]
서적
James IV
[69]
서적
James IV
[70]
서적
James IV
[71]
서적
A History of Scotland
[72]
서적
James IV
[73]
서적
Scotland Re-formed: 1488–1587
[74]
서적
Scotland Re-formed: 1488–1587
[75]
서적
James IV
[76]
서적
Scotland and the Sea
Rowman and Littlefield
1992
[77]
서적
James IV
Tuckwell
1997
[78]
서적
The Terror of the Seas?: Scottish Maritime Warfare, 1513–1713
Brill
2010
[79]
서적
Scotland Re-formed: 1488–1587
[80]
서적
Accounts of the Treasurer
1902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South Leith Records Second Series
1925
[84]
서적
A Dictionary of Education (Oxford Quick Refe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5]
서적
Fatal Rivalry
[86]
웹사이트
Calendar of State Papers, Spain (1485–1509), volume 1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1862
[87]
서적
Fatal Rivalry
[88]
웹사이트
First Language Acquisition
https://web.archive.[...]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2007-02-03
[89]
서적
Chronicles of Scotland by Robert Lindsay of Pitscottie
https://books.google[...]
1814
[90]
논문
Royal investigations of the origin of language
https://www.research[...]
1982
[91]
서적
Register of the Privy Seal of Scotland
1908
[92]
서적
Accounts of Treasurer of Scotland, 1500–1504
1900
[93]
서적
The Stewart Dynasty
House of Lochar
2003
[94]
서적
Accounts of Treasurer of Scotland, 1500–1504
1900
[95]
서적
Accounts of the Treasurer
1877
[96]
저널
An Alchemical Airman
https://books.google[...]
1958-05-08
[97]
서적
Accounts of the Lord High Treasurer of Scotland
1900, 1901
[98]
서적
1958
[99]
서적
Scottish Royal Palaces
Tuckwell
1999
[100]
서적
Whisky
Routledge
1970
[101]
서적
The Stewart Dynasty
House of Lochar
2003
[102]
저널
The sultana and her sisters: black women in the British Isles before 1530
2001
[103]
저널
In the Borderlands of Periodization with "The blythnes that hes bein": The medieval/early modern boundary in Scottish history
http://id.erudit.org[...]
2012
[104]
서적
Staying Power: The History of Black People in Britain
http://www.jstor.org[...]
Pluto Press
2018
[105]
웹사이트
Africans at the court of James IV
https://www.nts.org.[...]
2021-01-29
[106]
서적
Black lives in the English archives, 1500–1677 imprints of the invisible
[107]
서적
The Poems of William Dunbar
Clarendon Press
1979
[108]
서적
Old and New Edinburgh
[109]
서적
James IV
[110]
서적
James IV
[111]
백과사전
The Crusades – An Encyclopedia
[112]
서적
History of Scotland from the Accession
SHS
1797
[113]
서적
James IV
1997
[114]
서적
James IV
[115]
서적
Fatal Rivalry
[116]
서적
Fatal Rivalry
[117]
서적
History of Venice
[118]
서적
Young Henry
[119]
서적
Fatal Rivalry
[120]
서적
Fatal Rivalry
[121]
서적
Fatal Rivalry
[122]
서적
Fatal Rivalry
[123]
서적
2009
[124]
서적
Letters of James IV
SHS
1953
[125]
서적
2013
[126]
서적
2013
[127]
서적
2013
[128]
서적
2013
[129]
서적
James IV
Tuckwell
1997
[130]
서적
2013
[131]
간행물
An account of Floddon
1866–1867
[132]
서적
2013
[133]
서적
2013
[134]
서적
2012
[135]
서적
2013
[136]
서적
2012
[137]
서적
2013
[138]
서적
2013
[139]
서적
2012
[140]
서적
James IV
[141]
서적
Scotland Re-formed: 1488–1587
[142]
서적
Fatal Rivalry
[143]
서적
Fatal Rivalry
[144]
서적
Fatal Rivalry
[145]
서적
The Life and Reign of Henry VIII
1672
[146]
뉴스
The sad tale of James IV's body
https://www.bbc.co.u[...]
2013-09-08
[147]
서적
Buchanan's History of Scotland
1827
[148]
간행물
The Edinburgh Magazine
1786-08
[149]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Pimlico
2002
[150]
서적
1968
[151]
서적
The yellow frigate: or, The three sisters
http://archive.org/d[...]
London; New York: G. Routledge
[152]
서적
1968
[153]
서적
1968
[154]
뉴스
James IV: New Rona Munro play to give black people their rightful but forgotten place in history of Scotland
https://www.sundaypo[...]
2022-06-20
[155]
웹사이트
James IV king of Scotland
https://www.britanni[...]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